웃으면 복근이 생길까? – 배가 아플 정도로 웃는 것의 운동 효과

어느 날, 배꼽 잡고 웃다 보니 배가 아픈 경험이 있는가? 혹은 "배가 찢어질 것 같다"는 말을 실감한 적이 있는가?

이쯤 되면 엉뚱한 호기심이 생긴다. "그럼, 매일 이렇게 웃으면 복근이 생기는 걸까?"

웃음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정말 "배가 아플 정도로 웃으면 복근 운동 효과가 있을까?"

과연 의학적, 과학적 근거가 있는 이야기인지 살펴보자.

Designed by Freepik

1. 웃을 때 몸에서 벌어지는 일들

사람이 크게 웃을 때, 단순히 기분만 좋아지는 것이 아니다. 몸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

1) 복부 근육이 활성화된다

웃을 때 주요하게 사용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 복직근(Rectus Abdominis):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식스팩 근육"
  •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옆구리 쪽 근육
  • 횡격막(Diaphragm): 가슴과 배를 나누는 근육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 사용됨

실제로 사람이 크게 웃으면 횡격막이 빠르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복부 근육을 움직인다.

이 과정에서 복직근과 외복사근까지 긴장하고 이완되면서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다.

2) 심박수 증가 & 칼로리 소모

웃는 행위는 단순히 표정 근육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크게 웃을 때 심박수가 증가하고, 산소 소비량이 늘어나며, 에너지가 소모된다.

한 연구에서는 10~15분 동안 크게 웃는 것이 약 10~40kcal를 소모하는 효과를 낸다고 보고되었다(Ref: Vanderbilt University 연구).

이는 가벼운 걷기(속도 2~3km/h) 정도의 에너지 소비와 비슷하다.

3)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 행복 호르몬 증가

웃을 때 코르티솔(Cortisol, 스트레스 호르몬)이 감소하고,

대신 엔도르핀(Endorphin), 세로토닌(Serotonin) 같은 ‘행복 호르몬’이 증가한다.

즉, 웃음은 단순히 감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이기도 하다.

2. 웃음과 복근 운동의 실제 효과 비교

그렇다면, "배가 아플 정도로 웃는 것이 실제 복근 운동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까?"

운동 방식 사용 근육 운동 강도 칼로리 소모 (30분 기준)
배꼽 잡고 크게 웃기 복직근, 외복사근, 횡격막 낮음~중간 20~80kcal
크런치(Crunch) 복직근, 외복사근 중간~높음 150~250kcal
플랭크(Plank) 복부 코어 전반 중간~높음 100~200kcal
러닝(8km/h) 전신 유산소 운동 높음 300~400kcal

 

비교해보면, 웃음은 복부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직접적인 근육 성장(근비대) 효과는 제한적이다.

즉, 웃음이 복부 운동과 유사한 움직임을 유발할 수는 있지만, 근육의 지속적인 부하(Overload)를 주는 것이 아니므로 복근이 만들어질 정도의 운동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3. 웃음으로 운동 효과를 높이려면?

1) ‘웃음 요가(Laughter Yoga)’ 활용하기

‘웃음 요가’는 의도적으로 크게 웃으며 호흡을 조절하는 운동법이다.

이 과정에서 횡격막과 복부 근육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실제 복근 운동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2) 웃을 때 복부에 힘을 주기

단순히 웃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복근에 힘을 주면서 웃으면 근육 활성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부를 살짝 당긴 상태에서 웃는 것이 복근 강화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3) 웃음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기

웃음 자체로는 강한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걷기, 춤, 스트레칭 등과 결합하면 심폐 기능 개선과 복부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4. 결론 – 웃으면 복근이 생길까?

웃는 것만으로 복근이 생기지는 않는다.

✔ 하지만 복부 근육이 활성화되며, 칼로리 소모 및 심박수 증가 효과는 있다.

✔ 복근 강화를 원한다면, 크런치, 플랭크 등의 직접적인 복부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 하지만 웃음은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 향상 등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즉, 웃음은 운동의 대체재가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위한 보완 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 "복근을 만들고 싶다면 운동을! 하지만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웃음을!"

 

반응형